본문 바로가기
이슈 중심

3일차│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정리

by 구타입 2022. 2. 27.
반응형

▷ 우크라이나군, 키예프 공방전 승리

프리피야트 전선에서 한차례 큰 공방전이 있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군은 키예프 공방전에서 한차례 승리하게 되었고 러시아군은 30km 방면까지 후퇴를 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러시아군의 프리피야트 전선의 목표는 결국 키예프로 국한된 것이 확실해 보이는 순간입니다.

 

또한 프리피야트 전선에 배치된 러시아 군은 서방세계가 위협을 느껴 전쟁이 확전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서부 진출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도인 키예프를 계속해서 공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차례 우크라이나군이 승리를 거둔 덕분에 현재 키예프는 소강상태에 머물러 있습니다.

 

한편 우크라이나 내무부가 2만 5000정 이상의 자동소총을 키예프 지역에 있는 민병대에게 지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러시아 군이 키예프 지역을 함락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키예프에서의 시가전이 계속된다면 러시아의 장점인 기갑부대의 활용이 축소가 될 것으로 보이고 프리피야트 전선에 배치된 러시아군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체르니히우와 수미 전선이 함락되지 않는 이상 수도 키예프의 함락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우크라이나의 현 젤렌스키 대통령 또한 키예프 거리에서 자신의 건재를 과시하고 있는 사진을 페이스북에 게재하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민병대의 습격, 발 묶인 러시아군

체르니히우 전선에서 러시아군은 빠르게 키예프 방향으로 남진하고 있는 모습이 관측되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시가전을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고 그들의 강한 저항으로 인해 러시아군은 체르니히우 전선의 초기 목표였던 키예프 포위 작전의 실패와 동시에 발이 묶여버린 상황입니다.

 

또한 보급로에서 우크라이나 민병대들의 습격 때문에 러시아군은 또 한 번 발이 묶여버린 상황입니다 그리하여 체르니히우 전선에서만 수십 대의 차량과 장갑차가 노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장 주목해야 할 코노토프 전선에서는 러시아군이 압도적인 화력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군을 밀어내고 내부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전투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지역이었지만 현재는 러시아군의 주 공세 지역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이곳에 있는 러시아군은 최대한 시가전을 피하고 주요 도로를 따라 키예프로 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코노토프 전선 또한 후방에서의 민병대들이 지속해서 러시아군에게 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으로 러시아군은 코노토프 전선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후 이 민병대를 어떻게 할지에 따라 러시아군의 키예프 함락 시기가 조정될 것 같습니다.


▷ 강도 높은 경제 제재, 러시아의 핵협정 탈퇴 협박

수미 전선은 잠시 러시아군에 의해 함락이 되었으나 우크라이나군이 시가전을 계속해서 유도하였고 그로 인해 재탈환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문제는 러시아군이 수미 전선으로 계속해서 화력을 투사할 TOS-1M 부라티노 등 무기들을 배치하고 있는 상황이고 추후 대도시에 집중 화력을 투사할 것으로 예상되어 민간인 사상자가 다수 나오지 않을까 라는 염려의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헤르손 전선은 개전 초기 러시아군의 빠른 진격 속도와는 다르게 우크라이나군의 강한 저항으로 잠시 주춤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 국방부 발표에 따르면 멜리토폴을 점령당했다는 주장도 있어 전선이 더욱 넓어진 상황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러시아군은 헤르손 전선으로 향하는 교량을 확보해 언제든지 드네프르강을 넘어 서진할 수도 있지만 이미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헤르손 전선에서 1차적으로 막히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제사회 또한 우크라이나에 보급물자와 무기를 계속해서 지원해주고 있으며 러시아에 강도 높은 경제제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아예 자원까지 묶어 버리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스위프트 제재로 인한 러시아의 무역이 사실상 차단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러시아는 서방권에 있는 국가들이 계속해서 경제제재를 가한다면 핵협정을 탈퇴하겠다는 협박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핵협정 협박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계속해서 러시아의 강력한 경제제재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